• 충남대학교
  • 정보화본부
  • CNU With U
  • 웹메일
  • 도서관
  • 발전기금
  • 사이트맵
  • 번역이 완료되었습니다!
모바일 메뉴 닫기
 

한문학과

학과사무실 위치 및 전화번호

인문대학(W7) 201호 ☏042)821-5381

대학원 전공 소개 및 안내

한문학 전공

한문학 전공은 한국한문학 전 분야를 망라한다. 고문(古文)이라 일컬어지는 한문산문, 근대 이전의 한문으로 지어진 한문소설, 한시(漢詩) 및 한문학비평이론과 시론(詩論), 경전을 연구하는 경학(經學) 등의 분야를 연구하며, 시대와 역사를 고민하고 연구했던 선조들의 자취를 따라 공부한다. 좁게는 한국한문학을 심화·중점적으로 연구하며, 넓게는 한국의 문학, 역사, 철학과 문화를 연구하여 궁극적으로는 동양인문학의 본령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문학 교수진 소개

이향배

  • 연구 및 논문 지도 분야 : 시론(詩論), 시화(詩話), 문학비평, 한시, 고문(古文)
  • 주요 담당 교과목 : 한시비평론, 초사특강, 한문문체론, 중국고전문학비평연구 등

정만호

  • 연구 및 논문 지도 분야 : 한문문법, 한자학, 번역학, 한문산문
  • 주요 담당 교과목 : 시화특강, 산문특강, 사부문학특강, 조선전기한문학연구, 한문소설연구 등

조정윤

  • 연구 및 논문 지도 분야 : 한문산문(漢文散文), 한문비평(漢文批評) 등
  • 주요 담당 교과목 : 한국한문학작가연구, 고문특강, 한문산문세미나, 한문학비평 등

이남면

  • 연구 및 논문 지도 분야 : 한시, 한시 비평
  • 주요 담당 교과목 : 한국한시론, 당송시특강, 율시특강, 한자론 등

고전번역 전공

고전번역 전공은 보다 전문적인 고전번역 교육 ․ 연구 시스템을 구축하여 적용하고, 고전번역에 대한 이론 및 실무 능력을 갖추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마련되었다.
이에 고전번역 전공에서는 번역학, 번역 비평의 이론적 관점뿐만 아니라 한문고전의 텍스트의 성격, 텍스트에 대한 접근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교육 ․ 연구 프로그램이 강좌로 개설되어 있다. 또한, 특수고전번역에 속하는 농서(農書), 경제서(經濟書), 과학의학서적 등을 읽고 번역하기 위하여 조선시대의 행정관련 고문서와 초서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
석사과정을 선발할 수 있으며, 심화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졸업자는 일반대학원 한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이수할 수 있다.

고전번역 교수진 소개

이향배

  • 연구 및 논문 지도 분야 : 특수고전 번역, 번역이론
  • 주요 담당 교과목 : 성리학류 번역실습, 역사서류 번역 실습, 번역학 이론, 번역문체론

정만호

  • 연구 및 논문 지도 분야 : 한문문법, 한자학, 번역학, 한문산문번역
  • 주요 담당 교과목 : 한국고전번역세미나, 번역 기법론, 한문문체연습 등

조정윤

  • 연구 및 논문 지도 분야 : 한문산문(漢文散文)번역, 한문비평(漢文批評) 등
  • 주요 담당 교과목 : 초서 번역실습, 한국고문서특강, 한문고전번역실습 등

이남면

  • 연구 및 논문 지도 분야 : 한시 번역, 한시 비평
  • 주요 담당 교과목 : 한문시가 번역실습, 한시번역연구, 번역비평강독 등

향후 비전 및 진로

한문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교수, 한문 이해력을 필요로 하는 국가기관 (한국고전번역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사편찬위원회, 각종 도서관, 한적실, 문화원 등)의 전문직 종사, 국역사 자격증을 획득하여 한적의 번역사업에 종사, 교직과목을 이수하여 중·고등학교의 한문교사로 진출, 한문학원 경영, 한문 이해력이 필수적인 인접 학문분야(국문학·한국사 등 한국학의 모든 분야와 동양사·중국어·일본어 등 동양학의 모든 분야)로 진출, 한자 한문교육, 한문교재개발 등의 연구개발 전문직에 종사 할 수 있다.